본문 바로가기
산골 작물 재배

할라피뇨 재배 재도전

by 두_메 2023. 3. 22.
반응형

상토 구입과 할라피뇨 고추 씨앗 준비

올 2월 하순경, 작년에 했던 실수를 하지 않고 제대로 할라피뇨 새싹을 얻기 위해 일단 발아용 상토를 구입했다. 대량으로 할 것은 아니기 때문에 2포(한 포에 5600원이던가...)만 구입했다.  스티로폼 박스에 상토를 으깨어 부드러워진 상태로 한 10센티 깊이로 안을 채웠다. 두 박스를 준비했는데 전부 해서 안에 들어간 상토의 량은 한 포대중 삼분의 일쯤...?

 

 

작년 수확해 할라피뇨 씨앗용으로 하고자 했던 고추들이 제대로 빨게 지지도 못한 상태라 그런지, 말리는 과정에서 잘못된건지 하여간 전부 상태들이 좋지 않았다. 널어두면서 빨갛게 변하긴 했는데 고추를 쪼개어 보니 물컹한 것들이 상당수다. 아마도 과육이 두꺼워 천천히 마르다가 겨울에 약간 얼고 이것이 다시 날이 좀 풀리면서 녹았지 않았을까... 하는 추정을 해본다. 보통 고추 씨앗들은 바닥에 던지면 쇳소리가 날 정도로 말라야 하는 건데 그렇키는 커녕 썩을 것을 걱정해야 할 정도다. 완전히 곯았다고 보이는 씨앗을 발라내고 보니  생각보다 건강해 뵈는 씨앗이 많지도 않고 대부분 상당히 물러 보이는 씨앗들이었다. 

할라피뇨 씨앗 줄뿌리기 파종

2월 하순의 어느 따뜻한 날. 평상에 앉아 박스에 깔아 놓은 상토에 손가락으로 살짝 금을 긋는다. 간격은 적당히 2 내지 3 센티미터 정도... 이 골을 따라 고추 씨앗을 떨어뜨린다. 아... 이때 뿌리는 씨앗은 전날 하루 정도 물에 담가 놓았다가 다시 살짝 말린 상태였다. 계속 젖은 상태이면 손에 붙어 잘 떨어지지 않아서다. 손으로 하는 작업이라 떨어지는 씨앗들이 서로 붙기도 하고 수가 많기도 하고 들쑥날쑥이다... 그리고 손가락으로 흙을 살짝씩 덮어주었다.

그리고 나니 드는 걱정이 있었다. 물을 어떻게 주지...? 상토흙이 부드러워 그냥 조리로 주면 흙이 패이고 그러면 씨앗이 드러나 이리저리 몰키지 않을까... 마침 전날 눈이 많이 왔던 관계로 쌓여 있는 눈이 보였다. 먼저 눈을 박스 안에 평평하게 퍼담은 다음 물조리개를 이용해 물을 조금씩 준다. 눈은 녹지만 흙이 패이지는 않았다. 이 두 박스는 방 안으로 옮겨졌다. 밖은 아직도 엄청 추우니까... 

새싹이 나오다

장작불을 때는 방 안에 두었으니 발아에 지장이 있지는 않을 터. 그런데 3월 중순이 넘어서 새싹이 보이기 시작했으니 사실 파종에서부터 기간을 보면 20여일은 걸린 듯하다. 이 동안에 흙 겉면이 좀 말라 보이면 분무기로 한 번씩 뿌려주곤 했다. 보통 일반 고추는 2주 정도면 발아된다고 하는데 직접 해 보지 않아서 확실치 않고 일반고추라면 그냥 모종 사다 심는 게 훨씬 편하고 잘 자란다는 거... 그런데 이 할라피뇨는 모종이 없으니 씨앗파종 외에는 방법이 없다.

 발아된 싹은 나온 순서에 따라 쌍떡잎이 있는가 하면 이제 흙에서 고개 내미는 수준 등 성장 상태는 다 제각각.

박스를 들여다 보면서 무심히 새싹 수를 세어보니 176개다. 이게 무사히 큰다면 많은 모종이 생기는 건데...

할라피뇨도 재이식이 필요할까?

일반고추 씨앗 파종 시에는 상토에다 발아를 시킨 후 떡잎 2개가 생기고 3,4번 이파리가 절반쯤 컸을 때 살살 새싹들을 털어내고 50구 들이 모판에 이식한다. 판매하는 모종 크기 정도 될 때까지 모판에서 키운 다음 정식으로 밭에 심는다라고 알고 있다. 할라피뇨도 이를 따라야 할까?

작년 경험으로는 발아상자에서 쭉 크다가 밭에 심었음에도 잘 크는 놈은 잘 컸는데... 

생각을 정리해 보면 이렇다. 발아상자에서 그냥 크게 두면... 첫째로 싹들의 간격이 일정치 않아 성장하면서 서로 피해 보는 경우가 생긴다.  둘째로 상토의 양분이 모종 때까지 유지되지 않는다. 셋째로 밭에 이식할 때 상토가 뭉쳐지지 않아 알뿌리로만 심게 된다... 결국 양분 때문으로라도 모판에 이식해야 하지 않을까...

지켜보면서 다시 글을 올리기로 한다

 

반응형

댓글